El que ya está bañado – Pastor David Jang

1. El amor de Jesús hasta el fin y el significado de “el que ya está bañado”

El pastor David Jang, al reflexionar profundamente sobre el relato del lavamiento de los pies que aparece en Juan 13:2-11, destaca la gran relevancia de esta escena para la vida cristiana y la comunidad de la Iglesia. Este pasaje presenta la situación de la Última Cena, donde se anticipa un momento de extrema tensión y tragedia, pues el diablo ya había puesto en el corazón de Judas Iscariote la intención de traicionar a Jesús. Sin embargo, el Señor, aun sabiendo que su muerte era inminente, amó hasta el fin y mostró un amor que deseaba incluso el arrepentimiento de su enemigo. En particular, la frase “El que ya está bañado no necesita lavarse más que los pies, pues todo su cuerpo está limpio” (Jn 13:10) ilustra bien la tensión entre la regeneración y la necesidad de arrepentimiento diario.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ante todo que la expresión “el que ya está bañado” simboliza la experiencia fundamental del nuevo nacimiento (o regeneración) en la fe cristiana. Creer en Jesucristo y pasar de la esclavitud del pecado a la nueva vida constituye un cambio radical. En términos de una analogía, uno se baña antes de ir a una fiesta, pues eso es parte de la etiqueta y demuestra que se posee la dignidad o el derecho de participar. Sin embargo, en el camino hacia la fiesta, inevitablemente los pies pueden ensuciarse con polvo o lodo, por lo que es preciso lavarlos antes de participar plenamente del banquete. Esto significa que, aunque el creyente ha sido regenerado por la fe, en la vida cotidiana siempre existe el riesgo de “cometer pecados con nuestros pies rápidos para pecar”, y por tanto necesitamos un arrepentimiento y limpieza constantes.

El pastor David Jang recalca repetidamente que la experiencia de la regeneración es el punto de partida y el elemento esencial de la fe. Si alguien aún no se ha “bañado” (no ha nacido de nuevo), aunque participe en los cultos y sirva en la Iglesia, en el sentido más profundo no está realmente en comunión con el Señor. Es como Judas Iscariote, que se hallaba físicamente cerca de Jesús, pero nunca llegó a comprender su amor, y terminó tomando el camino de la traición. Sin embargo, el hecho de haber nacido de nuevo no convierte a la persona en alguien impecable o totalmente inmune al pecado. Incluso “el que ya está bañado” puede mancharse los pies en la vida diaria; por ello, es imprescindible lavarse los pies todos los días. Este acto de lavarse los pies representa el trato con los pecados personales y la lucha espiritual diaria contra la naturaleza pecaminosa que subsiste aun después de haber sido salvados.

En Juan 13 se aprecia cómo Jesús, con su acción, rompe la jerarquía tradicional entre maestro y discípulo. En aquella época, lo habitual era que el maestro o el superior recibiera el servicio de lavar sus pies por parte de los discípulos o criados, pero aquí Jesús invierte el orden y lava los pies de sus discípulos. Para el pastor David Jang, esto manifiesta la “condición de siervo por amor” que asume Jesús con extrema humildad. De esta manera, Jesús demuestra que la verdadera autoridad y la verdadera gloria en el reino de Dios se hallan en el servicio.

Cuando Simón Pedro ve a Jesús realizar este gesto, reacciona con sorpresa y resistencia: “Señor, ¿tú lavarme los pies a mí?” (Jn 13:6). Le costaba comprender por qué Jesús, el Maestro, tomaba semejante posición de humildad. Pero Jesús le responde con firmeza: “Si no te lavo, no tienes parte conmigo” (Jn 13:8). A este respecto,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que, por muy indignos que nos sintamos ante el Señor, si rehusamos su gracia y su amor, no podremos unirnos jamás a Él. El verdadero orgullo consiste en rechazar la gracia de Dios y su ofrecimiento de limpiarnos.

Cuando Pedro, turbado, exclama: “Señor, no sólo mis pies, sino también las manos y la cabeza” (Jn 13:9), Jesús responde: “El que ya está bañado no necesita lavarse más que los pies” (Jn 13:10). En esta declaración, vemos que una persona que ha nacido de nuevo en la fe no necesita repetir su regeneración; lo que precisa es la limpieza diaria de los pecados cotidianos. El pastor David Jang vincula este pasaje con el significado del bautismo: el bautismo con agua representa externamente la realidad interior del bautismo del Espíritu Santo, que ya ha acontecido en el corazón del creyente. Aunque la tradición de la Iglesia otorga un gran valor al rito bautismal, éste en sí mismo no garantiza la regeneración. El verdadero cambio nace de la obra del Espíritu Santo, que impulsa a la persona a apartarse del pecado y a recibir la nueva vida en Cristo.

Con todo, esto no termina aquí. Quien ya se bañó necesita aun así lavarse los pies. El pastor David Jang llama la atención acerca de que el cuerpo y la naturaleza humana todavía permanecen expuestos al pecado. Incluso los creyentes que han nacido de nuevo, mientras viven en este mundo, se enfrentan a tentaciones como la codicia, el odio, los celos, la lujuria y el orgullo, corriendo el peligro de sucumbir a ellas en ciertos momentos. Por eso, es esencial un proceso continuo de lavamiento, es decir, de arrepentimiento y vuelta al Señor cada día. De lo contrario, podríamos terminar alejándonos de Él y perder nuestra comunión con Jesús, advierte el pastor.

Según el pastor David Jang, esta realidad constituye una profunda reflexión acerca de la condición existencial del creyente. Por un lado, ya hemos recibido la salvación perfecta en Cristo y, por su gracia, somos hechos hijos de Dios. Pero, al mismo tiempo, mientras vivimos en este mundo, con frecuencia cedemos a los deseos de la carne en vez de seguir al Espíritu. Citando Romanos 3:15 (“sus pies se apresuran para derramar sangre”), el pastor sugiere que nuestros pies tienen la tendencia de correr con demasiada facilidad hacia el pecado. En ese momento, nuestra tarea es ir de inmediato ante Jesús y clamar: “Señor, lava mis pies”, con un corazón que anhele la santidad.

La expresión “el que ya está bañado”, según Juan 13, abarca así dos grandes significados. Primero, que quien ha recibido la salvación tiene la dignidad de participar en el banquete de Dios, porque se le ha conferido una nueva identidad. Segundo, que esa persona, no obstante, debe lavarse los pies para mantener fresca su relación con el Señor. El pastor David Jang lo explica como dos conceptos clave: la “temeridad hacia la gracia” y la “vigilancia dentro de la gracia”. Por un lado, hemos de reflexionar profundamente en la inmensidad de la gracia de Jesús, que cubre y acoge con amor al pecador que nada merece. Por otro lado, tenemos que mantenernos siempre alertas para no menospreciar esa gracia ni abusar de ella, examinándonos continuamente a nosotros mismos. Esta tensión no debe perderse en la vida cristiana ni en la Iglesia.

Asimismo, valorar esta condición de “el que ya está bañado” y practicarse el “lavamiento diario de pies” a través del arrepentimiento tiene implicaciones no sólo para la vida devocional individual, sino también para la vida en comunidad. Lavarnos los pies mutuamente en la Iglesia implica seguir el modelo de humildad y amor que Jesús demostró. En lugar de juzgar y alejarnos cuando descubrimos la falla o el pecado en nuestro hermano, debemos acercarnos con la misma actitud de lavar los pies: con compasión, oración y amonestación fraterna. Si no cultivamos esta cultura, la Iglesia caerá rápidamente en contiendas y divisiones humanas. Tal como en la Última Cena, cuando los discípulos disputaban sobre quién sería el mayor (véase Lc 22), se pone de manifiesto la fuerza del instinto humano que prefiere dominar y escalar posiciones.

En definitiva, el pastor David Jang interpreta la frase: “El que ya está bañado no necesita lavarse más que los pies” (Jn 13:10) como una invitación a imitar el servicio y el amor de Jesús en todos los ámbitos de la vida, tanto dentro como fuera de la comunidad de fe. Aunque hemos sido ya admitidos en el banquete mediante la regeneración, sin la limpieza diaria de los pies no podemos conservar nuestra pureza. Por ello hemos de contemplar profundamente el amor de Jesús, quien se inclina a lavar nuestros pies con sus propias manos, y aferrarnos a esta gracia. De esta manera crecemos como verdaderos discípulos de Cristo.

Así, al abordar en el subtema 1 el sentido de “el que ya está bañado”, vemos la importancia de mantener equilibrados la regeneración fundamental y el arrepentimiento diario. El pastor David Jang, a través de esta verdad, exhorta a todos los creyentes a no quedarse meramente en la seguridad de la salvación, sino a proseguir lavándose los pies, para no ceder al pecado y avanzar en santidad. Además, recuerda que ese “lavamiento” no se realiza por nuestro propio poder, sino por el amor y el servicio de Jesús, al que respondemos compartiendo esa misma gracia con los demás. Cuando esto se pone en práctica, la comunidad eclesial es renovada.

2. La traición de Judas Iscariote y la indiferencia de los discípulos, y el Señor que ama hasta el fin

El pastor David Jang considera con mucha seriedad y tristeza el versículo de Juan 13:2, donde se dice que “el diablo ya había puesto en el corazón de Judas Iscariote, hijo de Simón, que lo entregara”. El hecho de que en la Última Cena estuviera presente un enemigo pone de relieve el dramático choque entre la pecaminosidad humana y la gracia de Dios. Aunque Judas había recibido tanto amor de Jesús, no se arrepintió y se internó en el camino de la traición.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primero, que la mayor meta del diablo consiste en “separar al Señor de sus discípulos”. Elegir a uno de los discípulos para que se rebele y traicione a Jesús supone para el diablo el mayor éxito. Esto sirve de advertencia acerca de lo peligroso que es el odio, la división y la desconfianza dentro de la comunidad de fe. Judas y Jesús compartían la mesa, y Jesús trató de sostenerlo hasta el último momento. Con todo, Judas rechazó esa oferta de amor y acogió la “idea que el diablo había puesto en su corazón”.

Un punto importante que destaca el pastor David Jang es que, cuando Judas concibió la idea de entregar a Jesús, los demás discípulos no se dieron cuenta de la gravedad de la situación. En Juan 13:27ss, cuando Jesús le dice a Judas “Lo que vas a hacer, hazlo pronto”, los discípulos pensaron que Judas quizás iba a comprar provisiones para los pobres. Nadie imaginó que salía para traicionar a Jesús. Esa insensibilidad e indiferencia de los discípulos, que no prestaron atención al estado espiritual de Judas, contribuyó indirectamente a crear un ambiente donde se podía gestar aquella traición.

El pastor David Jang afirma que esto se asemeja a algunas situaciones en la Iglesia de hoy. Aunque externamente participemos del culto y la comunión, puede haber personas que albergan en su interior semillas de traición. Si somos insensibles y no mostramos un amor sincero que atienda el estado del alma de los demás, el diablo aprovechará esa brecha para destruir la comunidad. Por eso, la comunidad de fe ha de orar y velar los unos por los otros, atendiendo sus heridas y luchas espirituales.

Pero más sorprendente aún es que Jesús, pese a saber de antemano la traición de Judas, no lo apartó, sino que lo amó hasta el final. El pastor David Jang describe esto como “la última caricia de amor del Señor al traidor”. Judas, que participó en la Última Cena e incluso recibió el lavamiento de pies, finalmente se marchó. Desde la perspectiva humana, se trata de una traición colosal. Cuando el relato dice: “Y después de tomar el bocado, Judas salió. Era de noche” (Jn 13:30), se consuma la tragedia. Judas se adentra en la noche, en las tinieblas, y lo hace por su propia voluntad.

El pastor David Jang aprovecha este momento para advertir acerca de la gravedad de ser “entregado” o “dejado a su suerte” por Dios. En Romanos 1:24 y 1:26 aparece la expresión “Dios los entregó” (o “los dejó”), y hace referencia a aquellos que persistentemente rechazan la gracia y la llamada de Dios, hasta llegar a un punto en que se sumergen en la degradación. Judas no apartó de sí su codicia y su intención de traicionar, y desechó reiteradamente el llamado amoroso de Jesús. A la postre, se convirtió en alguien a quien Dios “dejó” en ese camino, no porque Dios sea frío o insensible, sino porque el mismo Judas rechazó la mano de Dios y acogió el engaño del diablo.

A través del ejemplo de Judas, el pastor David Jang nos recuerda la posibilidad de que nosotros también podamos caer en la tentación y recorrer un camino de no retorno. Inclusive en la comunidad cristiana pueden surgir traidores como Judas, o podemos convertirnos en uno de ellos. Lo vital es no despreciar el amor que el Señor nos brinda, para no acabar en la oscuridad espiritual.

En cuanto a la insensibilidad de los demás discípulos, el pastor David Jang hace una observación crítica: antes de la Última Cena, los discípulos estaban discutiendo entre sí, compitiendo por ver quién sería el mayor (Lc 22:24). Con una mentalidad tan centrada en sus propias ambiciones y rivalidades, eran incapaces de percibir las luchas o crisis espirituales de su compañero. Si el corazón está lleno de celos y vanidad, uno no puede comprender ni acompañar la tragedia que sufre quien se halla a su lado.

El pastor David Jang considera este pasaje como una lección que la Iglesia debe recordar. ¿Somos personas que lavamos los pies de nuestro hermano, o discutimos, igual que los discípulos, sobre quién es el mayor, mostrando indiferencia hacia los demás? Cuando en la Iglesia o en cualquier comunidad surge un conflicto o alguien experimenta una gran inestabilidad espiritual, ¿respondemos con el mismo amor con que Jesús se esforzó en retener a Judas hasta el final, o dejamos de lado a esa persona, alimentando así su caída?

Asimismo, el pastor David Jang ve un fuerte simbolismo en la expresión “Era de noche” (Jn 13:30). No sólo describe que había oscurecido, sino que es una metáfora de la oscuridad espiritual y del estado de pecado y desesperación al que se expone quien rechaza a Cristo. Tal como Judas dejó la cena y entró en la noche, cualquiera que se aparte del amor de Jesús deja de caminar en la luz y queda atrapado en las tinieblas.

En definitiva, este pasaje contrasta a Judas, a los discípulos insensibles y a Jesús que ama hasta el fin. Para el pastor David Jang, dicha tensión revela cuán profunda y grande es la compasión de Dios, y al mismo tiempo qué inquebrantable puede ser la maldad humana. Jesús quiso amar hasta a su enemigo, lavando sus pies y extendiendo su mano hasta el último momento, pero Judas rechazó ese amor. A su vez, los otros discípulos no estuvieron a la altura de ayudar o evitar la caída de Judas.

El pastor David Jang nos anima a no limitarnos a la conclusión “Judas fue un mal discípulo”, sino a percibir “nosotros también podríamos convertirnos en Judas; sin embargo, el Señor sigue sosteniéndonos”. Este relato nos confronta y, a la vez, nos consuela. Nos advierte del peligro de la traición y la división, pero nos muestra igualmente que el amor de Dios nunca deja de invitarnos al arrepentimiento. Por ende, el subtema 2 expone la posibilidad real de traición y pecado en la Iglesia y en cada creyente, a la par que subraya cuán magnífico es el amor de Cristo, que ama hasta el fin. El pastor David Jang cree que debemos leer esta historia como una seria advertencia y un llamado a la vigilancia, sin olvidar que el Señor aún hoy nos tiende su mano.

3. Jesús lavando los pies y el mandamiento de “lavar los pies los unos a los otros”

El pastor David Jang se centra en los versículos de Juan 13:4-5, donde Jesús se quita el manto, se ciñe una toalla y echa agua en una jofaina para lavar los pies de los discípulos y secarlos con la toalla. Para él, esta escena ejemplifica la verdadera autoridad en el reino de Dios. En aquel contexto cultural, el lavado de los pies era tarea de siervos o esclavos, y en la relación entre un rabino y sus discípulos, se esperaba que el discípulo pudiera lavar los pies al maestro, pero no lo contrario.

Sin embargo, Jesús se coloca en la posición de esclavo y procede a lavar uno por uno los pies de los discípulos. El pastor David Jang describe este acto con la frase: “El Rey de reyes se convirtió en el siervo de siervos”. No se trataba de una simple exhibición de cortesía, sino de la esencia de la humildad. Jesús ordena: “Pues si yo, el Señor y el Maestro, he lavado vuestros pies, vosotros también debéis lavaros los pies los unos a los otros” (Jn 13:14). Este es el principio fundamental de la comunidad cristiana, basada en el amor y el servicio mutuo.

El problema es que, en ese mismo momento, los discípulos seguían discutiendo sobre quién era el mayor (Lc 22:24). Para el pastor David Jang, esto describe la naturaleza pecaminosa universal del ser humano: incluso en la Iglesia, con frecuencia competimos y nos comparamos, buscando quién recibe más reconocimiento o quién ejerce más influencia. Pero Jesús, en medio de esa ambición y disputa, se arrodilla y lava los pies de sus discípulos, mostrándoles qué es en realidad el servicio, y que la verdadera autoridad se expresa en el amor humilde.

El pastor David Jang llama a esto “la libertad de ser siervo por amor”. Es decir, Jesús, aun teniendo todo el poder y la gloria, elige ejercer su autoridad mediante el servicio y no mediante la imposición. En ese acto de amor, se halla la verdadera libertad: la que nace de vaciarse de uno mismo y servir con humildad. Esta idea conecta con Filipenses 2:6-8, donde el apóstol Pablo describe cómo Jesús se despojó de sí mismo para tomar “forma de siervo”.

¿Cómo, pues, hemos de practicar este ejemplo de Jesús en nuestra vida actual? El pastor David Jang señala dos dimensiones:

Primero, en lo personal, debemos tomar nuestra cruz y aprender la negación de nosotros mismos, vaciándonos y humillándonos. Nuestros pies pueden mancharse con facilidad, y para lavar los pies de otros debemos renunciar a nuestro orgullo y ambiciones. En la Iglesia, la cruz representa esa “autonegación”. Sin el espíritu de la cruz en nuestro corazón, la Iglesia no pasa de ser un grupo de personas vanidosas. El pastor David Jang afirma contundentemente que “sin la cruz, la Iglesia termina siendo solo una reunión de orgullosos”.

Segundo, en lo comunitario, necesitamos establecer una cultura de “lavarnos los pies los unos a los otros”. Esto incluye el cuidado práctico de las necesidades físicas, pero también el aspecto espiritual de cubrir y restaurar al hermano que ha caído en pecado, orar por su arrepentimiento y acompañarlo. Si la Iglesia adopta seriamente este espíritu de “lavar los pies”, prevalecerán la reconciliación y la sanidad en vez de la condena y la vergüenza. El pastor David Jang usa la imagen de que cada creyente debe llevar “una jofaina y una toalla en el corazón” para estar siempre listo a servir al prójimo.

Al mismo tiempo, recalca la gravedad de las palabras: “Si no te lavo, no tienes parte conmigo” (Jn 13:8). No se trata de que nos lavemos a nosotros mismos por nuestra propia capacidad, sino de que necesitamos la mano de Jesús para ser lavados. Incluso el que ya se ha bañado debe acudir al Señor para que limpie sus pies cuando se ensucien. Y lavar los pies a otros no significa que nosotros nos convirtamos en “el Salvador” de todos, sino que nos transformamos en canales del amor de Jesús.

El pastor David Jang subraya la importancia de este pasaje (Jn 13) cada vez que surgen conflictos y divisiones en la Iglesia, porque gran parte de esos conflictos provienen de la competencia y de la búsqueda de superioridad. Pero Jesús, en lugar de disputar, se bajó a lavar los pies de sus discípulos. Siendo Maestro y Señor, asumió la posición de un siervo. Esa es la dirección que hemos de tomar.

Nuestro mundo todavía se rige por el afán de “ser rey y gobernar”. En una sociedad orientada al éxito, al poder y a la influencia, la práctica de lavar los pies a los demás puede parecer absurda e ineficaz. Pero el pastor David Jang insiste en que, justamente en esa paradoja, se manifiestan la vida y la libertad genuinas del reino de Dios. Cuando lavamos los pies de otra persona, el amor de Jesús vuelve a hacerse presente con poder.

En particular, el pastor David Jang menciona que este mensaje del lavamiento de los pies tiene especial resonancia durante la Cuaresma y la Pascua. La Cuaresma es el tiempo de meditar en la pasión y en la cruz de Cristo, aprendiendo su camino de humildad y obediencia. “Lavaos los pies los unos a los otros” durante la Cuaresma no es sólo un rito, sino un llamado a la práctica del arrepentimiento, el servicio y la comunión real. Por su parte, la Pascua celebra la victoria de Cristo en la resurrección, que demuestra que la abnegación y el sacrificio no acaban en derrota, sino que se transforman en triunfo glorioso. Según el pastor David Jang, el lavamiento de los pies, por muy pequeño que parezca, está conectado con la realidad de la resurrección, pues el mundo lo ve como locura, pero en ese servicio nace la verdadera libertad y alegría.

En conclusión, el relato del lavamiento de los pies (Jn 13:2-11), en la interpretación del pastor David Jang, refleja la esencia de la Iglesia y la identidad cristiana. Primero, el que ya está bañado (la persona regenerada) no debe olvidar la necesidad del arrepentimiento diario para limpiar sus pies. Segundo, la traición de Judas y la indiferencia de los discípulos demuestran la peligrosidad del pecado, la desconfianza y la falta de amor en la comunidad. Tercero, la acción de Jesús al lavar los pies indica que el amor auténtico se expresa haciéndose siervo, y que sólo así se alcanza la verdadera alegría y comunión.

El pastor David Jang concluye preguntándonos si hoy estamos dispuestos a lavar los pies de aquellos que nos resultan como “enemigos” o de las personas más difíciles de servir dentro de la comunidad. Jesús lavó incluso los pies de Judas, ¿y nosotros a quién lavamos los pies? ¿Nuestra confesión de fe se reduce a meras palabras sobre el amor, o se traduce en la humildad de servir a nuestros hermanos? Respondamos con sinceridad a esta interrogación, pues de ello depende que la Iglesia sea realmente la Iglesia de Cristo y que los cristianos vivan como verdaderos discípulos.

En última instancia, el mandamiento “lavaos los pies los unos a los otros” es tan elevado como asombroso. Jesús, consciente de nuestra impotencia para cumplirlo, primero nos lavó los pies a nosotros. Y cada día sigue limpiando nuestros pies cuando se ensucian. Gracias a ese amor, podemos compartir su gracia y su fragancia con los demás, lavándoles los pies también. Aquí radica la misión y la razón de ser concreta de la Iglesia.

Así, en el subtema 3 se exalta el significado espiritual y práctico de “lavar los pies” como un acto de amor. El pastor David Jang enfatiza que seguir la enseñanza de Jesús en Juan 13 es el camino hacia la renovación de la hermandad en la comunidad y, a la vez, un testimonio tangible del amor de Cristo en el mundo. Aunque parezca una pequeña acción, en ella se encierra el gran poder que hace presente el reino de Dios. Al final, este sendero de lavar los pies nos conduce a la Pascua, a la mañana de la resurrección, y es el sendero del peregrino que sigue los pasos de Cristo en su humildad y entrega.

Si resumimos la perspectiva del pastor David Jang, el capítulo 13 de Juan pone de manifiesto la importancia del arrepentimiento permanente en quienes ya han recibido la salvación, la necesidad de estar alerta ante el pecado y la división que pueden surgir en la Iglesia, y la invitación a encarnar el amor humilde de Cristo, que se ciñó una toalla y lavó los pies de sus discípulos. Tal es la plenitud de la gracia, la verdad y el amor que Jesús nos legó. Meditando y practicando a diario esta enseñanza, el creyente que ya ha sido “bañado” disfrutará más profundamente de la riqueza de la salvación, mientras la Iglesia crece en servicio mutuo y unidad.

이미 목욕한 자 – 장재형목사

1.예수님의 끝까지 사랑하심과 ‘이미 목욕한 자’의 의미

장재형목사는 요한복음 13장 2-11절에 나타난 예수님의 발 씻김 사건을 깊이 묵상하면서, 이 장면이 그리스도인의 삶과 교회 공동체에 주는 메시지를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이 본문은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 마귀가 이미 가룟 유다의 마음에 배반의 생각을 심어 놓았다는 점에서 극도의 긴장과 비극이 예고된다. 그런데도 주님께서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음을 아시면서도 끝까지 사랑하시고, 심지어 원수까지도 돌이키기 원하시는 사랑을 베푸신다. 특히 “이미 목욕한 자는 발밖에 씻을 필요가 없느니라 온 몸이 깨끗하니라”(요 13:10)라는 말씀은, 중생한 자와 매일의 회개가 필요한 자 사이의 긴장을 잘 보여준다.

장재형목사는 먼저 “이미 목욕한 자”라는 표현이 신앙의 근본을 이루는 중생(重生) 체험을 뜻한다고 강조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죄에서 해방되고 새 삶으로 옮겨지는 근본적 변화다. 비유하자면, 잔칫집에 초대받아 들어가기 위해서는 이미 몸을 씻고 가는 것이 예의이며, 그 잔치에 들어갈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길을 가는 동안 발은 먼지와 흙탕물로 더러워질 수밖에 없기에, 잔치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전에는 발을 다시 씻어야 한다. 이는 믿음을 가진 자들도 매일의 삶 속에서 ‘죄 짓기에 빠른 발’을 갖고 있기에, 늘 회개하고 씻음을 받아야 함을 상징한다.

장재형목사는 중생의 체험이야말로 신앙의 출발점이자 필수 요소임을 거듭 강조한다. 만일 아직 목욕(중생)을 하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는 교회 예배와 봉사에 참여하더라도 진정한 의미에서는 주님과 상관이 없게 된다. 이는 마치 가룟 유다가 주님 곁에 있었으나, 끝내 그리스도의 사랑을 깨닫지 못하고 배반의 길로 가버린 것과 상통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한 번 중생한 사람들이 아무런 죄를 짓지 않는 완전무결한 존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목욕한 자라 해도 매일의 삶에서 발이 더러워질 수 있으므로, 날마다 자신의 발을 씻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발을 씻는 과정은 ‘자범죄(自犯罪)’를 다루는 것이며, 구원받은 이후에도 남아 있는 죄성(罪性)과 매일 싸워야 하는 영적 전투를 의미한다.

요한복음 13장에 나타난 예수님의 행위는 스승과 제자의 전통적 위계를 뒤엎는 듯하다. 당대에는 스승이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이 제자나 하인들에게 발을 씻기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예수님은 거꾸로 제자들의 발을 친히 씻어주셨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사랑의 종’이 되신 예수님의 극단적 낮아지심으로 설명한다. 그분은 진정한 권위와 영광은 섬김에서 온다는 하나님 나라의 역설을 몸소 가르치신 것이다.

예수님의 이 행동을 본 시몬 베드로는 반발한다. “주여, 주께서 내 발을 씻으시나이까?”라는 놀람은 예수님이 왜 그런 겸손의 행동을 취하시는지 이해하지 못해서였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내가 너를 씻어주지 아니하면 네가 나와 상관이 없느니라”(요 13:8)고 단호히 말씀하신다. 여기서 장재형목사는 우리가 제 아무리 자격 없다 생각하고, 스스로를 비천하게 여긴다 해도, 주님의 은혜와 사랑으로 씻김을 받지 않으면 결코 주님과 연합할 수 없음을 역설한다. 죄인인 우리 스스로가 그분의 은혜를 거절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큰 교만일 수 있다.

베드로가 이에 놀라 “내 발뿐 아니라 손과 머리도 씻어달라”고 말할 때, 예수님께서 “이미 목욕한 자는 발밖에 씻을 필요가 없다”고 하신 대목이 곧 믿음 안에서 새롭게 태어난 자에게 필요한 것은 ‘매일의 죄 씻음’이지, 거듭난 존재 자체를 부정하거나 새로 중생 의식을 반복하는 게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장재형목사는 세례의 의미도 이와 연관해 해설하는데, 물로 받는 세례는 이미 내면에서 이루어진 성령의 세례를 공적으로 표현하는 외적 표지라는 것이다. 교회 전통에서 세례 의식을 매우 중시하지만, 그 의식 자체가 중생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성령의 역사를 통해 개인이 죄로부터 돌이키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을 얻는 근본 체험이 있어야 한다고 장재형목사는 강조한다.

그러나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일단 ‘목욕’을 마친 사람도 발을 씻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인간의 육체와 본성이 여전히 죄에 노출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예수님을 믿고 중생한 그리스도인이라 할지라도, 세상 안에서 살면서 탐심, 미움, 시기, 음란, 교만 등 각종 죄의 요소를 접하게 되고 때로는 그것에 굴복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끊임없이 발을 씻는, 즉 날마다 회개하고 돌이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주님과 상관없는 자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장재형목사의 경고다.

장재형목사는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실존적 자리에 대한 귀한 통찰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미 예수님 안에서 완전한 구원을 받았고, 그 은혜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이 땅을 살아가는 동안 성령을 좇아 살기보다 육체의 소욕에 발목 잡히는 일이 잦다. “그 발은 피 흘리는 데 빠른지라”(롬 3:15)라는 사도 바울의 말을 빌리면, 우리의 발은 너무도 쉽게 죄를 향해 달려가는 경향이 있다. 이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곧장 예수님 앞으로 나아가 “주님, 제 발을 씻어주옵소서”라고 고백하며, 거룩을 추구하는 것이다.

요한복음 13장에 등장하는 ‘이미 목욕한 자’는 이렇게 두 가지 큰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이미 구원받은 존재로서 하나님 잔치에 참여할 수 있는 신분이 생겼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전히 발을 씻음으로써 주님과의 관계를 늘 새롭게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은혜에의 무모함’과 ‘은혜 안의 깨어 있음’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풀어낸다. 한편으로는 아무 자격 없는 죄인을 끝까지 사랑으로 감싸주시고 용납하시는 예수님의 은혜가 얼마나 큰지 깊이 묵상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은혜를 등한시하거나 가볍게 여기지 않도록 스스로 늘 점검하고 깨어 있어야 한다. 그리스도의 교회와 성도들은 이 긴장을 놓치지 말아야 함을 강하게 촉구한다.

이 ‘이미 목욕한 자’의 신분을 소중히 여기고, 발을 씻는 매일의 회개를 통해 지속적으로 주님께 나아가는 것은 단지 개인적 경건 생활에서 그치지 않는다. 바로 교회 공동체의 본질과도 연결된다. 교회 안에서 서로의 발을 씻어주는 섬김은, 예수님이 몸소 보여주신 낮아짐과 사랑의 실천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다. 서로의 죄와 허물을 발견했을 때 정죄하거나 거리를 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발을 씻어주는 마음으로 돌보고 기도하며 권면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이런 문화가 없다면, 교회는 금세 인간적 다툼과 분쟁에 파묻혀버린다.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도 제자들은 누가 더 큰지 다투고 있었음을 누가복음 22장이 보여주듯, 섬김보다 지배와 위계를 앞세우려는 인간적 본능이 얼마나 강한지를 폭로한다.

결국 장재형목사는 “이미 목욕한 자는 발밖에 씻을 필요가 없느니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교회 안팎의 모든 삶에서 예수님의 섬김과 사랑을 따라 살라는 초청으로 해석한다. 우리는 이미 중생으로 잔치에 초대받았으나, 매일 발을 씻지 않으면 깨끗함을 유지할 수 없기에, 예수님이 친히 손수 발을 씻기시는 사랑을 깊이 깨닫고 그 은혜에 매달려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참된 그리스도의 제자로 성장해간다.

이처럼 소주제 1에서 다룬 ‘이미 목욕한 자’의 의미는, 근본적인 중생과 매일의 회개가 긴장 속에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점을 밝혀준다. 장재형목사는 이 진리를 통해 모든 그리스도인이 개인의 구원 확신에 머무르지 말고, 계속해서 자기 발을 씻어야 함을 강조함으로써, 죄와 타협하지 않는 거룩과 성결의 삶으로 나아가기를 요청한다. 그리고 이 모든 ‘발 씻음’의 과정은 스스로 씻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과 섬김으로 이루어지며, 그 은혜에 응답하고 또 서로에게 나누어줄 때 교회 공동체는 새로워진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2.가룟 유다와 제자들의 무정함, 그리고 끝까지 사랑하시는 주님

장재형목사는 요한복음 13장 2절, 즉 “마귀가 벌써 시몬의 아들 가룟 유다의 마음에 예수를 팔려는 생각을 넣었더라”라는 부분을 매우 심각하고 비극적인 장면으로 해석한다. 최후의 만찬 자리에 원수가 함께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얼마나 인간의 죄성과 하나님의 은혜가 극적으로 맞부딪히는지 보여준다는 것이다. 유다는 주님께서 그토록 사랑하셨음에도, 끝내 그 마음을 돌이키지 않고 배반의 길로 들어선다.

먼저, 장재형목사는 마귀가 “주님과 제자를 갈라놓는 일”을 가장 큰 목표로 삼는다고 말한다. 제자 중 하나를 골라 주님께 반역과 배반을 일으키게 하는 것은 마귀에게 가장 큰 성공이기 때문이다. 이는 교회 내부에서 벌어지는 배반과 분열, 불신과 미움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경고해준다. 유다와 예수님은 분명히 한 식탁에서 함께 떡을 떼고, 예수님은 그런 그를 끝까지 붙드려 노력하셨다. 하지만 유다는 그 사랑의 초청을 스스로 걷어차 버린다. 예수님이 발을 씻어주시고, 마지막까지 사랑과 기회를 주어도, “마귀가 넣은 생각”이라는 거짓된 씨앗이 이미 그의 마음을 지배하고 있었다.

여기서 장재형목사는 한 가지 중요한 점을 지적한다. 가룟 유다가 예수님을 팔 생각을 하게 되었을 때, 다른 제자들은 그 심각성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요한복음 13장 27절 이하에 보면, 예수님께서 유다에게 “네가 하는 일을 속히 하라”고 말씀하셔도, 제자들은 유다가 구제할 물건을 사러 가는지 정도로만 생각했다. 아무도 그가 배반하려고 나가는 것을 알지 못했다. 이들의 무정함과 둔감함, 그리고 타인의 영적 상태를 깊이 살피지 않는 태도가 결국 공동체 안에서 큰 배반이 벌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 셈이다.

장재형목사는 이것이 오늘날 교회의 모습을 되짚어볼 수 있는 장면이라고 말한다. 교회나 신앙 공동체 안에서도, 서로가 겉으로는 함께 예배하고 식탁을 나누지만, 누군가는 마음 깊은 곳에서 배반의 씨앗을 키우고 있을 수 있다. 우리가 사랑에 둔감하고 서로의 영혼에 무관심하다면, 어느 순간 마귀가 그 빈틈을 노려 공동체를 무너뜨리려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회 공동체는 서로를 위해 기도하고, 영적으로 경계하며, 동시에 서로의 상처와 아픔을 살펴야 한다.

그러나 더욱 놀라운 사실은, 예수님은 유다의 배반을 이미 알고 계셨음에도 그를 끝까지 붙드셨다는 점이다. 장재형목사는 이 부분을 가리켜 “주님께서 배반자에게 베푸시는 마지막 사랑의 손길”이라고 부른다. 유다가 만찬을 함께 하고, 심지어 발까지 씻김을 받은 상태에서 떠나고 말았는데, 이것은 인간적 관점에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큰 배반이다. “유다가 곧 나가니 밤이러라”(요 13:30)는 성경 구절은 이 비극의 절정을 보여준다. 어둠 속으로 사라진 유다의 모습은, 결국 자신의 의지로 그 돌이킬 수 없는 길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장재형목사는 이 대목에서 내버려진다는 것, 혹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냥 두시는 것’의 무서움을 말한다. 로마서 1장 24절과 26절에서 “하나님께서 그들을 내버려 두사”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하나님의 사랑과 부르심을 거절하는 자가 결국 스스로 돌아설 수 없는 심연으로 빠지는 것을 가리킨다. 유다는 자신의 탐심과 배반의 마음을 스스로 거두지 않았고, 주님의 거듭된 사랑의 권면을 내쳤다. 결국 그는 내버려진 자가 되었다. 하지만 그 내버려짐은 하나님이 단지 냉혹하고 무정해서가 아니라, 사람이 먼저 하나님의 손길을 거절하고 등을 돌리며 마귀의 생각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장재형목사는 이러한 유다의 예를 통해, 우리도 언제든지 죄와 유혹에 빠져 돌이킬 수 없는 길을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교회 공동체 안에도 유다와 같은 배반자가 나타날 수 있으며, 혹은 내가 곧 그 유다가 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주님의 사랑이 이미 우리에게 부어졌음에도, 그 사랑을 거부하거나 남용하여 결국 신앙의 어둠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늘 깨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제자들의 둔감함에 대해서도 장재형목사는 날카롭게 지적한다. 최후의 만찬 직전, 제자들은 다투고 있었다. 누가 더 높은지, 누가 더 큰 자리를 차지할지 경쟁하는 모습이 누가복음 22장 24절에 나타나는데, 이런 마음가짐 속에서는 결코 타인의 내면적 갈등이나 죄악의 소용돌이를 알아차릴 수 없다. 오히려 각자의 욕심과 자리다툼에 빠져 있기에, 자기 곁의 형제가 배반자로 전락해 가는 과정을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지 못한다.

장재형목사는 이것을 교회 공동체가 새겨야 할 교훈으로 삼는다. 우리는 형제의 발을 씻어주는 사람들인가, 아니면 “누가 더 높은가”로 다투며 서로에게 무관심한 사람들인가를 자문해야 한다. 교회 안에 갈등과 분열이 생길 때, 혹은 누군가 영적으로 크게 흔들릴 때, 우리는 예수님이 하신 것처럼 진심으로 끝까지 붙드는 사랑을 보여주는가? 아니면 ‘나는 아니겠지’라고 하며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고 곁에 있는 이의 파멸을 방치하는가?

나아가 장재형목사는, 유다가 끝내 자리를 박차고 나가 “밤” 속으로 들어갔다는 요한복음 13장 30절을 매우 상징적으로 해석한다. 여기서 ‘밤’이란 단순히 해가 진 시간만이 아니라 영적 어둠, 죄와 절망의 자리가 된다. 유다가 주님의 만찬을 떠나 그 어둠에 들어갔듯,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떠나면 더 이상 빛 안에 거하지 못하고 어둠의 사로잡힘을 당한다.

결국 이 모든 장면은 배반자 유다와 무정한 제자들, 그리고 끝까지 사랑하시는 예수님이라는 극단적 대비를 보여준다. 장재형목사는 이 대비 속에서 하나님의 사랑이 얼마나 광대하고, 또한 인간의 죄성이 얼마나 완고한지를 함께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주님은 원수까지도 사랑하시고, 발을 씻어주며, 마지막 권면의 손길을 내미셨지만, 유다는 그 사랑을 뿌리쳤다. 그렇다고 다른 제자들이 그 과정을 막아낼 정도로 성숙한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지도 못했다.

교회 안에서 우리가 종종 접하는 갈등과 배반은 이 장면이 반복되는 작은 축소판일 수 있다. 우리가 겉으로는 함께 찬양하고 봉사하고 식탁을 나누지만, 내면에서는 서로를 질투하고 미워하고 경쟁하며, 심지어는 배반과 분열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예수님은 그 모든 상황에서도 어떻게 하시는가? 장재형목사는, 주님께서는 여전히 그 자리에 계시며 끝까지 사랑의 손길을 내미신다고 말한다. 하지만 결국 선택은 우리에게 달렸다. 유다처럼 그의 손길을 배반할 수도, 혹은 주님의 은혜로 눈물로 돌이켜 회복될 수도 있다.

이처럼 소주제 2는 가룟 유다와 제자들의 모습을 통해, 교회 공동체와 개인 신앙인 모두가 경계해야 할 죄와 배반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동시에 예수님이 보여주신 끝까지 사랑하심이 얼마나 위대하고 놀라운지 일깨워준다. 장재형목사는 이 본문이 단순히 “유다는 나쁜 제자였다”로 끝나는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도 얼마든지 유다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주님이 지금도 우리를 붙드신다”라는 경고이자 위로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해석한다.

3. 발을 씻으시는 예수님과 ‘서로의 발을 씻어주라’는 명령

장재형목사는 요한복음 13장 4-5절에서 예수님이 실제로 겉옷을 벗고 수건을 허리에 두르시며 대야에 물을 담아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수건으로 닦으시는 장면을, 하나님 나라의 진정한 권위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극적 사건으로 이해한다. 당시에 발을 씻는 일은 보통 하인이나 종의 역할이었다. 혹은 랍비와 제자의 관계에서 제자가 스승의 발을 씻길 수는 있었지만, 스승이 제자의 발을 씻기는 일은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럼에도 예수님은 수건을 허리에 두르고 한 사람씩 발을 씻어주신다. 장재형목사는 “왕 중의 왕이신 주님이 종 중의 종이 되셨다”라는 표현으로, 이것이 단지 예의상 보여주기 위한 퍼포먼스가 아니라 진정한 ‘낮아지심’의 본질을 담고 있다고 설명한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도 “내가 너희 발을 씻었으니 너희도 서로의 발을 씻어주라”고 명령하신다(요 13:14). 이는 교회 공동체가 가져야 할 근본적인 태도, 곧 서로를 향한 섬김과 사랑의 본보기가 된다.

문제는 제자들이 그 상황에서조차 누가 더 높으냐를 다투고 있었다는 것이다(눅 22:24). 장재형목사는 이런 제자들의 모습을 인간의 보편적 죄된 본성을 드러내는 장면으로 본다. 우리가 흔히 신앙 공동체 안에서도 끊임없이 비교하고 경쟁하면서, 누가 더 인정받는가, 누가 더 영향력이 있는가를 계산하는 모습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경쟁과 다툼 한가운데서 스스로 종이 되심으로, 참된 섬김이란 무엇인지, 사랑의 진정한 권위가 무엇인지를 보여주신다.

장재형목사는 이것을 “사랑의 종 된 자유”라고 표현한다. 즉, 예수님은 모든 만물 위에 계시고 모든 권세를 가지신 분이지만, 그 권세를 행사하는 방식은 지배나 군림이 아니라 “사랑으로 섬기는 종”의 모습이었다는 것이다. “사랑의 종”이 될 때 참된 자유가 온다. 자신을 비우고 낮추는 그 삶을 통해 오히려 어떤 억압이나 두려움도 없는 자유를 누리게 된다. 이는 빌립보서 2장 6-8절에서 바울이 말하는 예수님의 ‘자기를 비워 종의 형체를 가지신’ 사건과 그대로 연결된다.

그렇다면 오늘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이 예수님의 행동을 실천해야 하는가? 장재형목사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설명한다.

첫째, 개인 차원에서 자기 십자가를 지고 자기 비움과 낮아짐을 배워야 한다. 우리의 발은 언제든지 죄로 더러워질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이들의 발을 씻기는 삶을 선택하려면 반드시 자기 욕심과 교만을 내려놓아야 한다. 십자가가 바로 그 ‘자기 부정’의 자리다. 십자가가 교회나 가정, 혹은 내 마음속에 세워지지 않으면, 우리는 다른 이들을 섬기기보다는 지배와 이익 추구의 태도로 돌아가기 쉽다. 장재형목사는 “십자가가 없으면 교회는 결국 교만한 인간들의 모임이 될 뿐”이라고 강하게 말한다.

둘째, 공동체 차원에서 서로의 발을 씻어주는 문화가 필요하다. 이는 실제로 상대방의 육체적 필요를 보살피고, 그의 삶을 섬긴다는 물리적 차원도 있고, 더 나아가 영적으로 형제의 죄와 허물을 깨끗이 덮어주고 회복시키며, 회개할 수 있도록 함께 기도해준다는 차원도 있다. 교회가 진정 ‘발 씻김’의 의미를 실천한다면, 그곳에는 정죄나 수치심이 아닌, 회복과 화해와 사랑이 충만할 것이다. 장재형목사는 모든 성도가 “남의 발을 씻길 대야와 수건을 마음에 지니고 살아가야 한다”고 비유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함께 강조되는 것이 “내가 너희를 씻어주지 아니하면 너희가 나와 상관이 없다”는 말씀의 심각성이다. 이는 우리가 내 힘으로 내 발을 씻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수님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생을 통해 이미 목욕한 자라도, 삶을 살아가면서 다시금 발이 더러워질 때, 예수님 앞으로 나아와 씻음을 받아야 한다. 동시에 서로의 발을 씻어주는 것은, 내가 모든 사람을 대신해 예수님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을 전하는 통로가 된다는 뜻이다.

장재형목사는 교회 안에서의 분쟁과 갈등이 발생할 때마다, 요한복음 13장에 나타난 ‘발 씻김’ 사건을 기억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갈등은 ‘누가 더 높으냐’ ‘누가 더 옳으냐’ ‘누가 더 많이 기여했느냐’ 같은 비교의식과 자기주장이 부딪칠 때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 순간에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심으로, 정반대의 길을 제시하셨다. 스승이자 주인 되신 예수님이 스스로 낮아져 종이 되었듯이, 우리도 바로 그 길을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세상은 여전히 “왕이 되어 통치하려는” 마음으로 가득 차 있다. 성공과 지배, 영향력을 추구하는 문화 한가운데서, 서로의 발을 씻어주는 삶은 역설적이고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장재형목사는 이 역설 속에 진정한 생명과 자유,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가 펼쳐진다고 말한다. 우리가 다른 이의 발을 씻어줄 때, 그 행위는 곧 예수님의 사랑을 다시 살아나게 만드는 능력이 된다.

특히 장재형목사는 이 발 씻김의 메시지가 사순절과 부활절에 더욱 깊은 의미로 다가온다고 설명한다. 사순절은 예수님의 고난과 십자가를 묵상하는 기간이며, 예수님의 낮아지심과 희생, 순종의 길을 함께 걷는 영적 훈련 기간이다. 이 기간에 “서로 발을 씻어주라”는 예수님의 명령을 다시 되새길 때, 우리의 신앙은 단순히 예배당에 모여 의식을 치르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삶에서의 회개와 섬김, 나눔으로 이어진다.

나아가 부활절은 십자가의 죽음을 넘어선 예수님의 승리를 기념하는 날이다. 예수님의 자기 낮춤과 희생은 결코 실패나 패배로 끝나지 않고, 부활을 통해 영광스러운 승리로 나타났다. 장재형목사는 우리가 서로 발을 씻어주는 이 작은 섬김의 실천도 결국 부활의 영광으로 이어지는 길이라고 역설한다. 세상이 볼 때 어리석어 보이지만, 그 길에서 진정한 자유와 기쁨이 솟아난다.

결론적으로, 요한복음 13장 2-11절에 나타난 예수님의 발 씻김 사건은, 장재형목사에 따르면 교회의 본질이자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중요 장면이다. 첫째, 이미 목욕한 자는 거듭난 존재이지만, 매일 자신의 발을 씻어야 하는 회개의 필요가 있다는 점을 잊지 않아야 한다. 둘째, 가룟 유다의 배반과 제자들의 둔감함은, 교회 안에 여전히 자리할 수 있는 무서운 죄와 불신, 무관심을 상기시킨다. 셋째, 예수님이 직접 발을 씻어주신 행동은, 사랑이야말로 종의 모습으로 낮아져 섬기는 것이며, 이 길을 통해서만 참된 공동체와 구원의 기쁨이 완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재형목사는 마지막으로, 오늘날 우리가 ‘원수’처럼 느끼는 사람 혹은 공동체 안에서 가장 섬기기 어려운 사람의 발을 씻길 수 있는가를 스스로에게 물어보라고 제안한다. 예수님조차 가룟 유다의 발을 씻으셨는데, 우리는 과연 누구의 발을 씻기며 살아가고 있는가? 우리의 신앙고백은 말로만 ‘사랑’을 외치는가, 아니면 실제로 낮아져 형제를 섬기는 삶으로 이어지고 있는가? 이 질문 앞에 정직하게 서는 것이, 교회를 교회 되게 하고 그리스도인을 그리스도인 되게 한다는 것이다.

결국 ‘발을 씻으라’는 예수님의 명령은 우리에게 너무나 높은 기준이지만, 동시에 너무나 놀라운 은혜이기도 하다. 주님은 우리가 서로 발을 씻어줄 능력이 없음을 아시기에, 먼저 우리를 씻어주신다. 그리고 매일 더러워지는 우리의 발을 기꺼이 닦아주시고 새롭게 하신다. 그 사랑을 받은 우리는, 이제 다른 이들의 발을 씻어주며 그리스도의 향기를 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교회의 구체적인 사명과 존재 목적이 있다.

이처럼 소주제 3에서 우리는 사랑의 실천으로서 ‘발 씻김’이 지닌 영적·실천적 의미를 살폈다. 장재형목사는 “서로 발을 씻어주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형제애를 회복하고, 나아가 세상에 그리스도의 참사랑을 증언하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그 길은 사순절을 지나 부활의 아침에 다다르는 순례자의 길이기도 하다. 우리가 예수님이 보여주신 낮아짐과 희생의 모범을 참으로 좇아가기만 한다면, 비록 발을 씻기는 행동은 작고 미미해 보이지만, 그것이 바로 거대한 하나님의 나라를 현실로 이루어가는 기적임을 잊지 말라는 메시지다.

장재형목사의 이 모든 해설을 종합할 때, 요한복음 13장에 담긴 발 씻김의 본질은 구원받은 이들의 지속적 회개, 교회 안의 배반 가능성에 대한 경계, 그리고 종이 되신 예수님을 본받아 서로 섬기는 삶으로 요약된다. 예수님이 가르치신 이 길이야말로 은혜와 진리, 그리고 사랑의 완성임을 우리는 매일 묵상하며 실천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미 목욕한 자”로서 누리는 구원의 풍성함을 더욱 깊이 경험하고, 동시에 서로를 섬기는 교회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교회의 성숙 – 장재형목사(장다윗)

장재형목사와 동력자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현재도 자라고 있고, 미래에도 계속 자라며, 결국 종말에 이르러서는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거룩하고 영화로운 모습으로 완성될 것이라는 소망이다. 교회는 불완전하지만, 성령의 능력과 말씀의 진리, 그리고 사랑 안에서의 연합을 통해 분명히 그 약속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고 했다.


서론: 에베소서 4장과 교회의 실천적 중요성

에베소서 4장은 신약성경에서 교회론을 다루는 핵심 텍스트 중 하나로, 바울사도가 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 그리고 성도들의 영적 성숙을 긴밀히 연결하여 설명하는 장(章)이다. 이 장의 메시지를 통해 우리는 교회란 과연 무엇이며, 어떻게 움직이고 성장해야 하는지에 대한 바울사도의 종합적 교훈을 발견하게 된다. 동시에 이 교훈을 현대 교회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리적 지식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 또한 깨닫는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이 에베소서 4장의 가르침을 매우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풀어내며, 교회의 본질과 미래, 그리고 성도들의 삶이 어떻게 연관되어야 하는지를 여러 각도에서 통찰해 왔다.

장재형목사는 교회를 바라보는 시각에서 우선 “교회는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는 교회를 하나의 건물이나 제도적 조직으로만 파악하는 과거적 관점을 넘어, 유기적으로 자라고 변화하며 스스로 갱신해 가는 ‘생명체적 존재’로 보고 있다. 이는 에베소서 4장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표현과도 연결된다. 교회가 몸이 된다는 것은,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긴밀히 연결되고, 각 지체가 서로를 보완하고 돕는 유기적 관계 속에서만 교회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교회론적 시각은 단순히 신학 논리로만 머무르지 않는다. 현대 교회의 현실을 보면, 분열과 세속화, 다양한 이단 교리의 침투, 그리고 무기력증에 빠진 교회 공동체의 모습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에베소서 4장에서 말하는 “어린아이 상태를 벗어나 장성한 분량에 이르라”는 권면은, 현재 교회에도 여전히 시급하고 절실한 과제로 다가온다. 어린아이로 머무르면 세상의 궤술과 교묘한 유혹에 넘어가기 쉽고, 교회 내부의 다툼이나 은사의 남용, 혹은 기복주의적 사고방식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바울사도가 제시하는 교회 성숙의 길은, 믿음과 지식의 조화를 이루고 사랑 안에서 연합하며, 성령의 능력과 진리에 기초해 세상의 거짓된 풍조를 분별하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장재형목사 역시 교회와 성도가 한편으로는 지식, 다른 한편으로는 믿음, 그리고 이 둘을 연결하는 사랑을 통해 점진적인 성숙에 도달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한다. 나아가 이것이 궁극적으로 종말론적 희망, 곧 하나님의 나라를 완성해 가는 과정임을 상기시키면서, 교회가 단순히 자신들만의 안전과 구원에 몰두하는 것을 넘어 ‘세상을 위한 교회’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에베소서 4장을 통해 제시되는 핵심 메시지는, 교회는 분열과 갈등을 해결하고 오히려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도 하나의 몸을 이루어 성장할 수 있다는 종합적 ‘모델’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교회가 분열하고 부패했다는 부정적 현상만 부각되는 시대일수록, 역설적으로 이 본문이 주는 통일성의 메시지, 다양성의 조화, 그리고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서로 봉사하고 섬기는 영적 질서가 더욱 필요해진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이러한 현실을 주목하며,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를 때까지 교회는 멈추지 말고 자라가야 함을 역설한다. 교회가 ‘전위대(前衛隊)’로 부름받았다는 그의 주장은, 교회가 단지 과거의 전통과 교리를 지키는 소극적 공동체가 아니라, 미래를 향해 적극적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이끌어 가는 선봉대라는 고취된 사명을 일깨운다.

바울사도의 메시지에 따르면, 교회가 하나 되고 서로 협력하는 것은 단지 이상적 구호나 윤리적 도덕차원이 아니다. 그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성을 반영하는 것이자,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하여 모든 벽이 허물어진 새로운 인류 공동체를 지향하는 정체성이다. 따라서 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은 교리나 교회 제도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진 ‘구원’이라는 축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동시에 이 구원이 단지 개인 구원에 그치지 않고, 교회 공동체를 넘어 전 인류를 향한 우주적 스케일을 지닌다는 점도 놓쳐서는 안 된다.

결국 에베소서 4장의 메시지는 교회의 본질적 정체성과 실천적 사명을 총합적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장재형목사는 이를 해설하면서, 오늘날 실제 교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지침을 덧붙인다. 요약하면, 교회는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며 성장해야 하고,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를 때까지 계속해서 자라가야 한다. 이것이 교회의 숙명이며, 종말론적 희망 안에서 완성될 미래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

교회가 하나이면서도 동시에 다양하다는 개념은, 에베소서 4장뿐만 아니라 신약성경 전체에서 강조되는 중요한 교회론적 핵심이다. 바울사도는 “몸이 하나이요, 성령이 하나이요… 주도 하나이요 믿음도 하나이요 세례도 하나이요…”(엡 4:4–5)라고 말하며, 교회의 근본적 단일성을 천명한다. 이는 곧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적 통일성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교회가 그리스도 안에서 근본적으로 하나라는 사실을 선포한다. 그러나 동시에 교회에는 다양한 은사와 역할이 존재하며, 서로 다른 배경과 성품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간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바로 이 ‘하나 됨과 다양성의 역동적 균형’을 교회가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만약 ‘하나 됨’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면 획일화와 강제적 통합이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다양성’만을 강조하면 각자 자기 의견만 내세우다 보니 분열과 갈등으로 치달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교회가 지향해야 할 것은 ‘하나 됨’과 ‘다양성’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오히려 상호 보완하며 조화를 이루는 상태다. 이는 곧 몸의 비유—“한 몸에 많은 지체가 있고, 모든 지체가 같은 기능을 가지지 아니하나…”(고전 12:12~27)—를 통해 분명히 드러난다.

에베소서 4장 7~12절에 등장하는 은사 목록을 보면, 교회를 세우기 위한 다양한 직분과 역할이 제시된다. 어떤 이는 사도로, 어떤 이는 선지자로, 어떤 이는 복음을 전하는 자로, 또 어떤 이는 목사와 교사로 부름받는다. 중요한 점은 이 모든 은사가 교회의 유익과 성장,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주어진 것이라는 사실이다. 장재형목사는 “은사는 개인의 경건이나 우월감을 드러내는 수단이 아니라, 교회를 섬기고 하나 되게 하는 데 쓰여야 한다”라고 거듭 말한다.

현대 교회 현장을 돌아보면, 은사를 둘러싼 갈등이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예컨대 특정 은사를 과도하게 중시해 그 은사를 가진 사람들만이 ‘영적으로 우월하다’고 여기는 태도나, 반대로 어떤 은사를 경시하거나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 등이 분열을 야기하기도 한다. 에베소서 4장이 강조하는 다양성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온 몸이 상합하여 서로 유익을 주는 방향으로 은사를 활용하라는 교훈을 제공한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만유 가운데 계시며 만유를 통일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다양한 지체가 한 몸을 이룬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장재형목사는 교회 내 갈등의 주요 원인을 ‘통일성과 다양성의 균형’을 잃어버린 데서 찾는다. 서로 다른 은사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기보다는, 자기 주장과 견해만을 고집할 때 갈등이 증폭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교회 내에서 실천되는 사랑과 겸손이야말로 통일성 안에서 다양성을 꽃피우게 하는 핵심 열쇠”라고 역설한다. 사랑이 없다면 아무리 올바른 교리나 정책이 있어도 결국 실패하고 말며, 겸손이 없다면 교회 내 다양한 성도들이 각자 다른 재능을 협력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교회의 통일성은 마치 삼위일체 하나님의 신비처럼, 하나이면서도 동시에 셋이 되는 조화 속에 있다. 교회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공동체이지만 무수히 많은 지체가 다양한 역할을 감당한다. 이러한 생동감 넘치는 역동이야말로 교회를 살리는 힘이며, 종국에는 교회를 더욱 단단하게 묶어 주는 요소가 된다. 은사를 가진 성도가 서로를 향해 섬기고 봉사할 때, 교회는 점점 더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바깥세상에 사랑과 진리의 빛을 비추는 공동체로 자라난다. 이것이 에베소서 4장이 말하는 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의 실천적 의의이며, 장재형목사가 강조하는 ‘교회론적 지향점’이다.

믿음과 지식의 조화

에베소서 4장 13절에서 바울사도는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것과 아는 일에 하나가 되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믿음과 지식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결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교회와 성도가 온전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맹목적 믿음이나 공허한 지식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곤란하다. 믿음과 지식은 마치 두 날개처럼, 함께 작동해야 신앙 공동체가 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믿음이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주신 구원의 사랑에 대해 인간이 응답하는 결단적 태도”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 내거나 노력으로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이미 주어진 은혜에 동의하고 받아들이는 사건이다. 믿음은 단순히 지적 동의가 아니라, 우리의 인격 전체가 하나님의 진리를 향해 열리는 영적 태도이기도 하다.

한편 지식은 하나님의 진리를 보다 깊이 탐구하고 이해함으로써, 그분의 뜻을 분별하고 순종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성경에서 ‘안다’(히브리어 yada, 헬라어 ginōskō 등)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차원을 넘어, 관계적·인격적 친밀성을 함축한다. 즉 성경적 의미에서 ‘지식’은 하나님과 교제하면서 그분의 성품과 계획을 알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곧 하나님을 전인격적으로 경험하고 체득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만일 교회 안에서 믿음은 강조되지만 지식이 소홀히 다뤄진다면, 성도들은 쉽게 광신적 태도나 피상적 신앙에 빠질 우려가 있다. 경험과 느낌만 추구하다가 성경적 토대가 부족해져, 결국 거짓 가르침이나 이단 사상에 휘둘리기 십상이다. 반대로 지식만 강조하고 믿음을 등한시하면, 교회는 경직된 교조주의나 교리적 논쟁으로 소모적인 다툼에 빠질 가능성이 커진다. 사랑과 믿음이 결여된 지식은 그저 머리로만 아는 이론이 되어, 성도들의 삶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에베소서 4장은 이런 극단을 피하고 “믿음과 지식에서 하나 되라”고 말함으로써, 참된 신앙 공동체의 균형 잡힌 모습이 무엇인지를 보여 준다. 장재형목사는 이 균형을 실천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교회가 체계적인 성경 공부, 신학적 토의, 그리고 예배와 성례, 기도와 같은 경건 훈련을 함께 장려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예배와 기도는 믿음을 자라게 하고 성령의 임재를 체험하게 하며, 성경 공부와 신학적 토의는 지식을 견고하게 쌓아 성도들이 진리 위에 굳게 서도록 돕는다.

이러한 믿음과 지식의 결합은 곧 성도들이 세상 문화나 시대정신에 흔들리지 않고, 오히려 그것들을 선한 영향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지식 없이 맹목적 열심만 내는 신앙인은 세상의 조롱과 비난에 쉽게 상처받고 무너질 수 있다. 반대로 믿음이 없이 지식만 가득한 신앙인은 머리로는 하나님을 안다고 주장하면서도, 실제 삶에서는 하나님과 동행하는 내적 능력이 결핍되는 모순을 드러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교회가 에베소서 4장이 말하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려면, 믿음과 지식이라는 두 축이 끊임없이 소통하고 상호 보완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이 조화를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으로, 교육과 예배, 섬김과 봉사, 그리고 거룩한 삶의 실천을 통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 모든 활동이 사랑 안에서 이뤄질 때, 비로소 교회는 영적 성장과 성숙을 이루어 갈 수 있으며, 세상 속에서 소금과 빛으로서의 사명을 감당할 수 있다.

교회의 성장과 영적 성숙

에베소서 4장 14~16절은 교회가 ‘어린아이 상태’를 벗어나 ‘장성한 분량’으로 자라나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바울사도는 “이는 우리가 이제부터 어린 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궤술과 간사한 유혹에 빠져 모든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치 않게 하려 함이라”고 말하면서, 미성숙한 상태에서 오는 위험성을 경고한다. 교회나 성도가 미성숙하면 세상의 거짓된 가치관에 쉽게 휘둘릴 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분쟁이나 상처가 잦아질 가능성이 높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여기서 ‘성장’이라는 개념과 ‘성숙’이라는 개념을 구분하면서도 긴밀히 연결된 것임을 설명한다. 숫자적으로 많은 성도를 보유하거나, 건물이나 재정이 늘어나는 것을 ‘성장’이라 부를 수도 있지만, 그 자체가 영적 성숙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참된 교회 성장에는 반드시 “말씀의 기초 위에서 성도들의 인격이 그리스도 닮은 모습으로 변화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래서 그는 “교회는 생명체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며, 살아 있는 생명체는 양적·질적 성장을 통해 자라나야 함을 역설한다.

에베소서 4장에 의하면, 교회는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라는 최종 목표 지점을 향해 계속해서 전진해야 한다. 이는 단지 신앙 생활을 오래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말씀을 공부하고, 기도와 예배, 봉사를 실천하며, 서로 교제하고 격려하는 공동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이러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단계별 교육 프로그램’, ‘영적 멘토링’, ‘소그룹 및 셀 모임’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이러한 프로그램이 형식에 그치면 안 되며, 사랑과 진리가 녹아든 관계 속에서 실제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성숙’이라는 단어는 곧 ‘책임감’과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교회가 어린아이로 남아 있으면 세상 풍조에 따라 흔들리고, 스스로를 지키기도 어렵다. 그러나 성도 개개인이 말씀으로 무장하고, 자신의 은사를 봉사와 섬김에 사용하며, 공동체 전체가 예배와 헌신에 진지하게 참여할 때 교회는 견고한 내적 힘을 얻게 된다. 이는 단지 교회 내부를 굳건히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외부적 환난이나 비방, 시대적 도전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내공’을 형성한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영적으로 성숙해 갈수록, 자연스럽게 교회 밖 세상에도 선한 영향력을 확대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예수님이 비유하신 겨자씨나 누룩처럼, 미미해 보이지만 꾸준히 퍼져 나가는 복음의 힘을 통해 세상이 변화되고, 궁극적으로 하나님 나라가 확장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을 두고 장재형목사는 ‘종말론적 희망’과 연결된다고 보는데, 교회가 점차 성숙해지는 과정 자체가 바로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실현해 가는 전초 단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의 영적 성숙은 단순한 교회 내의 자기개발이나 자기만족적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세상 가운데 복음을 전하고, 정의와 사랑, 평화를 실현하는 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필수 준비 과정이다. 에베소서 4장에 등장하는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하여 스스로 세운다”(엡 4:16)는 표현 역시, 교회가 상호 돌봄과 책임을 통해 함께 성숙해 갈 때 점점 더 굳건해진다는 진리를 보여 준다. 장재형목사가 말하는 ‘교회 성장’과 ‘영적 성숙’은 결코 분리된 주제가 아니며, 오히려 두 축이 맞물려야 교회가 참된 부흥을 경험하게 됨을 분명히 보여 준다.

사랑 안에서 하나 됨

에베소서 4장 15~16절은 교회의 구체적 성장 방식이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바울사도는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고 강조하는데, 이는 교회가 성장하고 성숙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랑’이 얼마나 결정적인 요소인지를 웅변적으로 나타낸다. 사랑은 교리적 지식이나 은사, 그리고 조직적 시스템을 모두 아우르면서도, 그것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끄는 동력이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고린도전서 13장을 연상시키며, 사랑이 없는 교회 활동은 궁극적으로 ‘울리는 꽹과리’와 같다고 말한다. 교회 내에서 아무리 훌륭한 프로그램이나 사역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사랑에 뿌리를 두지 않으면 결국 형식적이 되고,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한다. 그러나 작은 헌신과 사소한 봉사라도 참된 사랑과 겸손이 담겨 있으면, 그것은 교회를 더욱 강건하게 세우는 ‘거룩한 씨앗’이 된다.

교회가 사랑 안에서 하나 되기 위해서는, 먼저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장재형목사는 교회 내 다양한 지체—연령, 학력, 경제적 배경, 문화적 차이 등을 가진 성도들—가 서로를 ‘형제자매’로 인정하고, 차이를 넘어서는 영적 유대감을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는 곧 수평적이고도 가족적인 공동체성을 함축한다. 만약 이러한 교제와 나눔이 사라지면, 교회는 금세 사무적인 조직이나 프로그램 중심의 단체가 되어 버릴 위험이 있다.

또한 사랑 안에서 하나 됨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법으로, 장재형목사는 ‘서로 섬김’과 ‘서로 짐을 지는’(갈 6:2) 태도를 제시한다. 이는 곧 교회가 단지 행사나 예배에 모이는 곳이 아니라, 실제 삶의 문제를 함께 나누고 해결하며, 기쁨과 고통을 공감하는 공동체임을 뜻한다. 교회 안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지체나 소외된 부류가 생긴다면, 이미 ‘사랑 안에서의 하나 됨’이라는 근본 가치가 흔들리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에스겔 37장의 마른 뼈가 연결되고 큰 군대로 일어서는 장면에서, 골짜기에 죽어 있던 뼈들이 서로 이어지고 새 생명으로 소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장재형목사는 이 장면이 에베소서 4장 16절의 “온 몸이 각 마디를 통하여 도움을 입음으로 연락하고 상합하여…”라는 구절과 맞닿아 있다고 해석한다. 서로가 연결되고 보완해 주는 과정은 오직 사랑으로 가능해진다. 사랑은 관계를 회복시키고, 상처 입은 지체를 싸매며, 서로를 돌보도록 만든다. 그러므로 교회가 사랑 안에서 하나 될 때, 그 교회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군대로 우뚝 서게 되며, 외부의 도전이나 공격에도 흔들리지 않는 내적 단단함을 확보하게 된다.

결국 사랑 안에서 하나 됨은 단순히 내부 결속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사랑이 교회 담장을 넘어 세상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에 맡기신 가장 중요한 사명 중 하나다. 세상에서 교회가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려면, 먼저 교회 내부에서 ‘사랑 안에서의 연합’이 구현되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해, 교회가 ‘전위대’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도 필수적인 자질이 바로 “사랑 안에서 하나 되는 능력”임을 역설한다.

세상 풍조와 영적 분별

에베소서 4장 14절에서는 교회와 성도들이 “어린 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궤술과 간사한 유혹에 빠져 모든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치 말라”는 경고가 등장한다. 이는 믿음과 지식이 깊어지고, 사랑 안에서 하나 된 공동체가 외부의 잘못된 사상이나 문화적 압력에 맞설 수 있는 영적 분별력을 갖추라는 명령이다. 현대 사회가 ‘정보의 홍수 시대’로 불리는 만큼, 우리는 이전 어느 시대보다 더 많은 정보와 주장들에 노출되어 있다. 교회나 성도들은 이러한 홍수 속에서 과연 무엇이 진리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재고해야 한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현대 교회가 직면하는 거짓된 풍조로 물질주의, 소비주의, 상대주의, 영적 혼합주의, 과도한 인본주의 등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믿으면 부자가 된다”는 식의 기복신앙은 물질주의와 기독교 신앙을 혼합한 왜곡된 형태이며, “절대 진리는 없다”는 상대주의적 사고방식은 신앙의 토대를 허무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종교나 사상에서 좋은 것만 적당히 섞어 취하는 ‘영적 혼합주의’ 역시 교회가 본질을 놓치게 만들며, 복음의 유일성을 희석시킨다.

교회가 이런 세상 풍조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반드시 말씀을 기초로 한 영적 무장을 갖추어야 한다. 에베소서 4장이 어린아이 상태를 경계하는 이유는, 미성숙한 신앙인이 쉽게 미혹당하기 때문이다. 교회가 성도들에게 체계적인 성경교육과 교리 교육을 제공하고, 정통 신앙 고백(사도신경, 니케아신경 등)을 가르치며, 성령 안에서 예배와 기도를 통해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추구하도록 돕는 일이 필수적이다. 장재형목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성도들이 참된 믿음과 지식을 함께 배우고, 사랑 안에서 연합하며, 외부 세계의 거짓 정보나 유혹 앞에서도 요동치 않는 견고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교회 공동체 내에서 상호 검증과 권면이 이뤄지는 구조가 필요하다. 교회가 사역자와 성도의 영적 상태를 꾸준히 점검하며, 서로 다른 관점이 있을 때 대화와 기도를 통해 진리를 모색하고, 이단적 교리나 거짓 정보가 유입되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장재형목사는 이를 위해 ‘작은 그룹 모임’ 혹은 ‘셀 교제’ 등 소규모 공동체 단위에서 자주 만남을 갖고, 말씀과 현실적 이슈를 함께 토의하는 과정을 권장한다. 그렇게 해야만 각 성도의 영적 상태를 면밀히 살피고, 동시에 세상이 던지는 질문들에 어떻게 복음으로 응답할 수 있을지를 함께 고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상 풍조와 영적 분별의 문제는 단지 교회 내부의 정체성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세상을 향해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어떤 실천적 역할을 감당할 것인지와 직결된다. 교회가 스스로 분별력을 상실하면, 결국 세상에서도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잃게 될 뿐 아니라, 이단이나 거짓 교사들에게 교회 자체가 무너질 위험을 노출하게 된다. 에베소서 4장의 핵심 메시지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사람의 궤술과 간사한 유혹에 빠져…”라는 구절은, 교회가 경계심을 늦추지 말고 진리 위에 굳게 서라는 강력한 호소로 읽힐 수 있다.

결국 장재형목사가 말하는 교회의 영적 분별력은, 단순히 방어적 자세를 넘어 적극적으로 세상을 바꾸고 복음을 전하는 ‘공격적’이고도 창의적인 교회 사역을 가능케 하는 요인이다. 교회가 올바른 분별을 갖출 때, 세상의 흐름에 영합하거나 아예 담을 쌓는 극단을 피하고, 오히려 복음을 통해 세상의 문화를 새롭게 재해석하고 변혁시킬 수 있다. 이는 교회가 단지 외부 충격을 견뎌 내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과 진리를 전 세계로 확장해 나가는 선교적 동력을 확보하는 길이기도 하다.

결론: 장재형목사가 말하는 종말론적 희망과 교회의 비전

에베소서 4장을 중심으로 살펴본 교회론에서 핵심적인 다섯 가지 주제—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 믿음과 지식의 조화, 교회의 성장과 영적 성숙, 사랑 안에서의 하나 됨, 그리고 세상 풍조 속에서의 영적 분별—은 서로 분리된 영역이 아니다. 이들은 모두 삼위일체적 하나님 안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종말론적 희망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다층적으로 보여 준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이 사실을 강조하면서, 교회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 목표가 ‘하나님의 나라’임을 분명히 밝힌다.

교회는 현재 이 땅에서 불완전하지만, 계속해서 성장하고 성숙해 가면서 종국에는 하나님의 나라를 충만히 경험할 날을 바라보는 공동체다. 교회가 자신의 정체성과 사명을 올바르게 이해한다면, 결코 내부의 갈등이나 외부의 공격 앞에서 좌절하거나 방황하지 않는다. 에베소서 4장은 교회가 서로 다른 지체들이 모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하나가 되었음을 잊지 말라고 권면한다. 그 하나 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은사들은 다채롭게 발휘되고, 믿음과 지식은 함께 자라며, 사랑과 연합은 교회 안에 거룩한 유대감을 형성한다. 동시에 세상의 풍조에 맞서 진리를 지켜 내고, 종말론적 희망을 향해 계속해서 전진하는 견고한 공동체가 형성된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전위대(前衛隊)’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이는 교회가 단순히 내부에서만 안주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이미 임한 동시에 아직 완성되지는 않은(Already but not yet) 하나님의 나라를 선취적으로 구현하며, 세상 앞에서 앞장서서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제시하는 이정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교회가 세상보다 더 높은 윤리적 기준을 갖고, 세상의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는 모범을 보이며, 모든 사람을 향해 복음의 사랑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 줄 때 비로소 교회는 진정한 ‘빛과 소금’으로서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위대적 사명에는 희생과 헌신, 끊임없는 갱신이 수반된다. 교회는 종종 세속적 가치나 편의주의적 태도와 충돌할 것이다. 때로는 핍박과 오해, 조롱에 직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에베소서 4장의 메시지—“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기까지 자라가라”—는, 교회가 한편으로는 외부 위협 앞에서 흔들리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적으로 사랑 안에서 서로 지체들이 연합하며 성장해 가도록 끊임없이 촉구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종말론적 완성, 곧 하나님의 나라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될 여정이다.

결국, 교회의 사역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이 사명을 지속적으로 감당하기 위해, 예배와 말씀 선포, 기도와 교제, 봉사와 섬김, 선교와 교육, 그리고 성령의 역사를 통해 끊임없이 자신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교회는 어떤 특정 순간에 “이만하면 충분하다”고 안주할 수 없으며, 매일매일 ‘어린아이 상태를 벗어나 장성한 사람이 되어 가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가 진정한 의미에서 성숙해 간다는 것은, 하루아침에 뚝딱 이뤄지는 단회적 사건이 아니라, 긴 시간 동안 인내하며 서로를 돌보는 공동체적 노력의 결실이다.

이러한 결론에서 핵심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현재도 자라고 있고, 미래에도 계속 자라며, 결국 종말에 이르러서는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거룩하고 영화로운 모습으로 완성될 것이라는 소망이다. 이는 단지 아름다운 이상이 아니라, 이미 성경이 보증하는 약속이다. 교회는 불완전하지만, 성령의 능력과 말씀의 진리, 그리고 사랑 안에서의 연합을 통해 분명히 그 약속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장재형목사는 교회가 이 점을 잊지 않고, 날마다 성령의 도우심으로 한 걸음씩 걸어가며, 세상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실천하는 모습이 에베소서 4장의 구체적 요구에 부합한다고 역설한다.

요컨대, 에베소서 4장은 교회가 지향해야 할 비전과 그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지침을 담고 있다. 이것은 단지 옛날 교회에만 해당되는 말씀이 아니라, 현대 교회가 처한 위기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살아 있는 원리이기도 하다. 장재형(장다윗)목사는 이 말씀을 해설함에 있어서, 교회가 성장하는 생명체임을 늘 상기시키며, 서로 다른 은사를 가진 성도들이 믿음과 지식을 겸비해 사랑으로 연합할 때, 궁극적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영적 분별력을 갖추게 됨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이 결국 종말론적 완성, 곧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길로 이어진다고 힘주어 말한다.

“교회는 자라가는 것이다. 결코 멈추지 않는다.”

장재형목사의 이 언급은, 결국 교회가 한순간도 정체 상태에 머무르지 않고, 날마다 진리의 말씀과 성령의 인도하심을 통해 끊임없이 자라가야 한다는 요구를 함축한다. 교회가 과거의 영광에 매달리거나, 현재의 제도와 시스템에 만족해 버리면 그때부터 교회의 성장은 정체되고, 영적 생명력은 서서히 식어 갈 것이다. 그러나 에베소서 4장의 가르침을 붙들고 미래를 향해 전진하는 교회는, 비록 불완전한 모습일지라도 계속해서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경험하며,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는 여정을 걸어가게 된다.
이처럼 ‘성숙한 교회’로의 길은 쉽지 않지만, 분명한 목적지가 있다. 교회가 세상 풍조에 흔들리지 않고, 서로 간의 분열을 극복하며, 사랑으로 연합해 진리를 붙드는 공동체가 될 때, 세상은 비로소 교회를 통해 하나님의 현존과 능력을 체험할 수 있다. 이것이 에베소서 4장을 통해 바울사도가 전하는 교회의 궁극적 사명이자, 장재형목사가 현대 교회에 던지는 긴박한 메시지다. 그리고 바로 이 메시지를 붙들고 걸어가는 성도들과 교회는, 종말론적 희망 속에서 당당히 빛나며,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실현하는 전위대가 될 것이다.

BLOGWAVES

장재형목사 설립한 올리벳대학교, 박사 과정 콜로키움 종료 예배 드려

올리벳대학교

장재형목사가 설립한 올리벳대학교는 지난 18일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에서 ‘2024 박사 과정 콜로키움 종료 예배’를 개최했습니다.

이 예배에는 조나단 박 총장, 이요셉 캠퍼스 디렉터, 여러 교수진, 그리고 박사 과정 학생들이 함께 참석해, 콜로키움 기간 동안 베풀어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찬양과 예배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박사 과정 콜로키움은 학문적 교류와 연구를 위한 중요한 행사로, 교수진과 박사 과정 학생들이 모여 논문 발표와 세미나를 진행하고, 교수들의 피드백을 받으며 학문적, 영적 성장을 도모합니다. 이번 콜로키움은 약 2주간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에게 학문적 통찰과 신앙적 경험을 제공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한편, 올리벳대학교는 장재형목사(영어명 데이비드 장)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04년 3월 3일 미국 정부에 정식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본교는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에 위치하며, 샌프란시스코 캠퍼스를 포함해 10여 개의 분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올리벳 연구기술단지, 기독교 도서관, IT 센터 등 다양한 시설을 통해 학문적 연구와 신앙적 발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BLOGWAVES